Travel/2019 교환학생

[난징대학교 교환학생]#05 - 중국 현지 계좌 개설하기, 위챗페이 즈푸바오 계좌 등록

plate 2022. 4. 16. 21:51
반응형

2019.02.25 작성

 

입국한 지 3일차인 22일에, 드디어 나도 중국 현지 계좌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첫 날에 들렸던 씬제코역 옆에 있는 중국건설은행에서는, 대학교와 제휴를 맺은 지점에 가서 만들라는 말과 함께 튕겼고,

중국은행에서는, 아직 신체검사를 받지 않아, 거류증이 없다는 이유로 튕겼다.

하지만, 씨엔린캠퍼스 바로 앞의 중국공상은행에서는 바로 만들어주시더라 ㅎ

내 카드를 발급해준 고마운 은행.

카드 발급 시간도 20분 남짓밖에 안 걸렸다.

교환학생 중국 현지 계좌 발급받기

중국으로 온 교환학생이 현지 계좌를 발급받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준비물은

입학통지서와 여권, 중국 현지 휴대폰번호이다.

은행이나, 각 은행 지점에 따라서 거류증이나, 기타 서류들을 요구하는 지점도 있는 거 같다.

학교 근처의 은행에서 만드는게 좋으려나..?

여튼, 씨엔린 캠퍼스 앞의 중국공상은행에서는 입학통지서와 여권만을 요구했다.

해당 서류들을 들고 가서, 프론트 직원분에게 开卡(kaika)나, 办卡(banka) 라고 말하시면

서류가 있는 지 물어본 뒤 바로바로 절차를 진행해 주실거다.

참고로, 서류에 서명을 요구할 때(签字,qianzi)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싸인이 아닌,

영문 성명을 대문자로 작성해야 한다.

못 알아듣고 다른 짓 하면 직원분 화내실 수도 있음...ㅎㅎ

핀테크의 나라 중국, 위챗페이 등록하기

중국 현지 계좌를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알리페이(支付宝),위챗페이 등의 핀테크 어플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중국은 실제로 현금 사용률이 아주아주아주 낮은 국가이며(카드 사용도 거의 안함), 대부분의 거래를 위의 두 가지로 해결하기에,

위챗페이나 즈푸바오가 없으면 생활하는 데에 굉장히 제약이 많다.

나도 계좌가 없는 이틀동안, 콜택시도 못부르고, 100위안 내면서 눈치 보고, 공유자전거도 이용 못하고, 배달어플(와이마이)는 생각도 못했는데, 계좌를 등록한 뒤, 생활이 정말로 몇 배는 편해졌다.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나, 계좌를 등록하는 과정은 거의 동일하다.

최우선적으로 해야할 것은, 중국 휴대폰번호를 등록하는 것.

위챗의 경우, 만약 한국에서 위챗을 다운받아 이용하시던 분들은, 계좌를 등록하기 위해서 휴대폰 번호를 중국 번호로 바꿔줘야한다.

  

하단 탭의 나 - 설정 - 계정 보안 - 휴대폰 - 모바일 변경

을 통해서 등록된 휴대폰 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사진을 따라서 계좌를 등록하면 되는데,

가장 주의해야할 점은 바로 이름이다.

이름을 입력하는 칸에, 자기 마음대로 입력하는 게 아닌, 카드 발급받을 때 해당 은행에 등록된 이름을 순서, 대소문자까지 완벽하게 똑같이 써야 카드 등록이 가능하다.

보통 카드 발급을 받으면서 영수증과 비슷한 서류를 주는데, 거기에 이름이 적혀있다고 한다.

나같은 경우는 그런 종이 안 받고, 카드만 딸랑 받아서 때려맟췄음 ㅎ

내 경우에는 영문 대문자로 성 (공백) 이름 을 쓰면 되더라.

내 룸메이트 형도 이거 막 입력하다가, 하루동안 알리페이 등록 제한 먹으셨다 ㅋㅋㅋㅋ.

 

위챗페이나 알리페이를 이용해서 결제하면, 거래내역도 바로바로 알 수 있다.

계좌를 등록하고 난 이후에는, 생활하면서 지갑을 꺼낼 일이 거의 없다고 무방하다.

오늘의 포스팅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