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Finance

CFA level 3 - Capital market expectation 요약

plate 2022. 3. 24. 09:26
반응형
 
<Capital Market Expectation>
 
1
Market Forcast할때의 어려운 점들?
우선 Economic Data using의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음. Time lag/ Revision / Change of methodology / Rebase of index등의 문제가 존재함. 측정 과정에서의 Error & bias또한 존재함. Transcription error 와 더불어 Survivorship bias, Appraisal data의 이용 등으로 수익률은 과대평가하고 리스크는 과소평가할 수가 있음.
Historical Estimate를 이용하게 되면 Regime Change나 Non-stationary Data는 파악하기가 어려움. 특히 Short time period data를 이용하게 된다면 asynchronous data가 발생할 수도 있음. (Correlation이 distort됨)
Ex post data를 통해 Ex ante data를 예측하게 되면 return overestimate.
Datamining의 가능성도 존재. 이는 Scrutinizing data나 out-of-sample data를 활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음. Time period bias도 유의해야 한다.(일봉, 분봉 이야기). Conditioning information의 경우 현재 상황과 맞지 않다면 제외해야 하고,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헷갈리지 않아야 한다.(항상 Third variable이 존재할 수 있음을 생각해야함)또한 여러가지 Psychological bias가 존재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Anchoring(첫 정보에 빠짐), status quo(recent past에 지나치게 의존), Confirmation Bias(확증편향, 이미 내린 의사결정을 support하는 data만 받아들이기), overconfidence(mistake는 무시하고 accurate forecast는 과대평가), prudence bias(overly conservative), Availability bias(easy to remember is overweighted) 등이 있음
2
경제성장의 4 factor
Trend / Cyclicity / Seasonality / Irregularity
3
Exogenous shock
Gov. policy / Tech. progress / Natural disaster(장기적으로는 growth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잇음) / Discovery of natural resource(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음) / Financial crisis
4
경제성장 모델의 input
Labor input, Capital per worker, Total productivity factor
5
주요 economic forecastinc approach와 그 장단점들?
첫째로 Econometrics가 있음. 많은 variable을 incorporate할수 있고 quantified output을 제공받을 수 있지만, 모델이 복잡하고 결과를 해석해 줘야한다. 또한 unrealistic할 수도 있으며, 특히 Turning point의 예측이 어렵다.
두번째 방식으로는 Economic indicator의 이용이다. (Leading / Coincident / Lagging indicator) 장점으로는 simple하고 이미 third party에 의해 만들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지수가 inconsistent하고 false signal을 줄 가능성이 있고 잦은 revise가 존재하는 것은 단점
세번째 방식으로는 checklist의 이용. 심플하고 flexible하지만 그만큼 주관적이고 Time-consuming하다.
6
5 Business cycle
Initial Recovery > Early expension(upswing) > Late expension(late upswing) > slowdown > contraction
7
Cycle별 특징?
Initial Recovery때는 정부 부양정책을 기대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위험선호 증가), Late expension 때는 주식시장의 Vol이 가장 크다. Contraction이 시작되고 output gap이 사라짐. Slowdown 시즌에는 YC가 우상향하게 돼서 YC 에 투자할만 해진다.
8
기대인플레와 실질 인플레가 차이가 날때 상품별 차이 설명
기대=실제일때 : 현금은 Real rate interest를 벌고, 채권의 경우 단기채의 Vol이 더 크다. Equity랑 RE의 경우 별 효과 X
Inflation shock: Cash의 경우 높은 Yield로 투자할 기회가 생겨서 좋고, 채권의 경우 장기채의 Vol이 커진다. Equity는 선행지수라서 인플레가 커지면 정부 action이 예상되어 Negative effect가 존재하고, RE의 경우 긍정적 효과가 있음. 반대의 경우는 반대로 외우기
Deflation: cash의 경우 0%의 명목 금리를 가지므로 구매력은 유지되기에 상대적으로는 positive. 채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greater purchasing power를 가질 수 있어 positive하다. 나머지는 negative함.
9
Neutral rate와 Target 정책금리?
Neutral rate = 타겟 인플레 + 실질 gdp 성장률
Target 정책금리 = Neutral rate + 기대인플레 + 0.5*(기대 GDP - 장기평균 GDP) + 0.5*(기대인플레 - Target 인플레)
10
마이너스 금리가 가능한 이유
implicit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transfer money
11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의 차이점
통화 정책의 경우 action의 유지가 또 하나의 action이 될 수 있지만, 재정 정책의 경우 level of deficit은 관계없이 오로지 change of fiscal policy가 중요하다.
12
Current account?
순수출 = Saving + Gov. surplus
13
PEG 의 정의
Unilateral declaration by the pegging country, pegged country must follow economic policy it has pegged
14
FI return forecast에서 YTM이 expected return으로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
optionality가 반영되지 않고, hold to maturity가 아니면 ytm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중간에 이자율이 바뀌면 재투자수익률이 바뀌기에 YTM이 적합하지 않음. 일반적으로 듀레이션이 투자기간보다 긴 경우에는 price change가 중요하기에 이자율이 내려가면 긍정적이고, 반대로 투자기간이 더 긴 경우에는 재투자수익률이 중요하기에 이자율이 올라가야 이득이다.
15
Risk premium approach의 구성 요소
Risk free rate : 정부 발행 ZCB tied to central bank policy rate. 투자기간이 긴 경우 긴 만기의 ZCB rate를 이용하거나, 단기이자율을 rollover해서 추산 또는 future contract rate를 이용한다.
Term premium : YC에서 관찰되는 만기별 금리 gap. Inflation uncertainty는 이 프리미엄을 높이고, Recession hedge는 프리미엄을 낮춘다. 외에도 Business cycle이나 수급에 의한 영향도 존재한다.
Credit premium : premium on expected loss. 평균 spread는 credit risk를 fully explain하지 못함. 차라리 stock return, stock volatility, 무위험이자율 등을 관찰하는 것이 더 낫다. 또한 Event risk와 Illiquidity risk 등이 존재하기에 만기가 길다고 반드시 credit premium이 더 높은 것은 아니다Liquidity premium : 발행일이 최근일수록 / Issuer가 well-known할수록 / 발행주기가 잦을수록 / 구조가 단순할수록 프리미엄이 낮음
16
EM 투자시 고려할 요소 (guidelines of health EM factor)
재정 정책 측면에서 Deficit/GDP < 4%, Debt/GDP <70% // 실질성장률은 4% 이상
Current account deficit / GDP <4% (현재의 통화 가치가 유지되어야 함) // Foreign debt/GDP <50% // Foreign debt/Current account < 200%
외환보유고 / Short-term debt : 200%이상이면 good, 100%아래면 bad
+ 재산권, structural form 등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해야함.
17
Grinold-Kroner model과 GGM 차이?
GK 모델은 자사주 매입과 P/E ratio change까지 고려했음.
Expected return = [g + inflation] +[ D1/P0 - Δ%S] + [Δ%(P/E)]
대괄호 기준으로 Expected nominal earning growth, Expected CF return, Expected repricing return으로 decomposing이 가능함.
하지만 결국 장기적으로는 Δ%(P/E)와 Δ%S가 모두 0으로 수렴하기에 GGM과 동일해짐
18
Equilibrium approach
모델이 주가를 정확히 valuation할 수 있다는 가정을 깔고 들어감. Singer-Terhaar model이 있다.
19
Singer-Terhaar model
Risk premium의 계산을 Global market과의 integration 정도를 고려하여 시행하는 방법. CAPM에서 시작
Risk premium = ρ(개별주식i,시장m) * σ개별주식 * Market sharpe ratio(Market risk premium / σMarket)
만약 Global market과 segment되어있다면 correlation=1일 것이고,
이를 모두 고려한 Risk premium은 RP = ф*(Integrated RP) + (1-ф)*(Segmented RP)
일반적으로 선진국의 ф는 75-90%, EM의 ф는 50-75%
만약 유동성 프리미엄을 고려해줘야 한다면 계산된 Risk premium에서 추가로 더해줘야함
20
부동산 cycle의 특징
퀄리티가 높은 부동산일수록 Cycle(Fluctuation)이 적다.
21
부동산의 기대수익률
E(r) = Cap rate + NOI growth rate
만약 horizon이 finite하게 주어진다면 E(R)=cap rate + NOI growth rate - Δ%cap
22
부동산의 Risk premium
우선 overall risk는 주식과 채권 그 사이 어디쯤. Term premium + Credit Premium + Equity risk premium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부동산에도 주식과 마찬가지로 Singer-Terhaar Model을 적용할 수는 있으나, Appraisal에 의한 smoothing effectt와 liquidity premium을 고려해 줘야한다.
REITs에서 유동성위험이라 함은 자산이 quickly + reasonable price로 판매되지 않는 것을 일컫는다
23
REITs의 특징?
단기적으로는 주식과 매우 높은 cor를 가지지만 장기적으로는 결국 부동산시장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엄청 높은 레버리지를 쓰기에 unlever adjustment가 필요하다.
24
FX에 영향을 주는 factor
Trade / Financial System / law, government policy등
25
Trade에 영향을 주는 factor
Trade flow / Purchasing Power Parity(장기적으로 잘 드러맞음) / Competitiveness & Sustainability of current account
참고로 PPP와 실제 환율 변동에 차이가 존재하는 요인으로는 Trade barrier, capital flow에 포함되지 않는 자본이동, economic development, 교역 대상이 아닌 item등의 포함 등이 있음.
26
경상 수지와 환율
Size보다는 불균형의 duration이 환율에 더 큰 영향을 미침
27
Capital mobility
Nominal short-term rate와 각종 risk premium의 gap
= (nominal short-term rate) + (Term premium) + (Credit Premium) + (Equity market Preimum) + (Liquidity Premium) [Domestic - Foreign]
투자기회 존재시 Overshoot가 발생하여 돈이 몰려든 쪽으로 initially appreciation이 발생한 뒤, reversal이 시작됨
28
VCV matrix와 Factor VCV matrix의 차이
VCV matrix의 경우 자산군별로 공분산과 표준편차를 모두 계산해야하기에 n(n-1)/2개의 factor가 이용된다. 최소 자산군 개수 * 10 정도의 observation을 필요로 함.
Factor based VCV matrix의 경우 관측값을 많이 줄여준다. 자산군을 K개의 factor로 나눠서 k(k+1)/2개의 factor element만 있으면 modeling이 가능하다.
하지만 input에 예측값이 들어가므로 biased 가능성이 존재하고, sample size가 증가하면 true matrix로 수렴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alternative로 shrinkage estimate기법을 이용할 수 있음 (혼합)
반응형